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산불현황 경상도 산불, 문화재 피해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최근 발생한 산불의 진화 상황, 후속 조치, 피해 현황, 그리고 관련 문의처에 대해  안내해보겠습니다.

     


    1. 산불 진화 상황 및 후속 조치



    경상북도 의성군 및 안동시 산불 (3월 25일 발생)

    진화 상황: 산림 당국은 헬기와 인력을 집중 투입하여 주불을 진화하였으나, 일부 지역에서 재발화가 발생하였습니다. 현재 잔불 정리와 재발화 방지 작업이 진행 중입니다. ​


    후속 조치: 산불 피해 지역인 청송 주왕산 등 전국 7개 국립공원의 탐방로 90곳이 다음 달까지 통제됩니다. 또한, 경찰은 산불 발화 추정 지점에서 현장 조사를 진행하며 화재 원인 규명에 나섰습니다. ​

     

     

     


    경상남도 산청군 및 하동군 산불 (3월 26일 발생)

    진화 상황: 산불 발생 9일째인 3월 29일 기준으로 진화율이 99%에 도달하였으며, 막바지 진화 작업이 진행 중입니다. ​


    후속 조치: 환경부는 추가 산불 예방을 위해 국립공원 탐방 통제 구간과 기간을 확대하고, 불법 소각 단속을 강화하고 있습니다. 또한, 폐기물 처리 지원반을 가동하여 피해 지역의 폐기물 수거 및 처리를 지원하고 있습니다. ​

     

     

     



    울산광역시 울주군 산불 (3월 27일 발생)

    진화 상황: 현재 구체적인 진화 상황은 공개되지 않았으나, 산림청의 실시간 산불 정보 시스템을 통해 최신 정보를 확인할 수 있습니다. ​


    후속 조치: 정부는 울산광역시를 포함한 여러 지역에 재난 사태를 선포하고, 범정부 차원의 총력 대응을 진행하고 있습니다. ​

     




    2. 피해 현황



    인명 피해: 3월 26일 기준으로 경북 지역에서 최소 14명, 경남 지역에서 4명이 사망하였으며, 부상자도 다수 발생하였습니다. ​


    재산 피해: 주택, 창고, 공장 등 209곳의 건물이 전소되거나 피해를 입었으며, 농업 시설과 문화유산에도 상당한 피해가 발생하였습니다. ​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화재로 소실된문화재


    최근의 산불로 인해 다수의 소중한 문화재가 피해를 입었습니다. 주요 사례는 다음과 같습니다:​

    고운사(孤雲寺): 681년에 창건된 경상북도 의성군의 천년 고찰로, 산불로 인해 주요 건물인 고운루(高雲樓)와 연수전(蓮水殿) 등 30개 동 중 21개 동이 소실되었습니다. 특히, 국보로 지정된 건물 두 채가 소실되어 문화재계에 큰 충격을 주었습니다. ​

     




    운람사(雲嵐寺): 경상북도 안동시 소재의 사찰로, 신라 시대에 건립된 천년 고찰입니다. 이번 산불로 인해 사찰이 전소되어 역사적 가치가 큰 손실을 입었습니다. ​

    하회마을: 경상북도 안동시의 유네스코 세계문화유산으로 지정된 전통 마을입니다. 산불이 마을 인근까지 확산되어 주민들이 대피하였으며, 문화재 보호를 위한 긴급 조치가 취해졌습니다. 다행히 현재까지 직접적인 피해는 보고되지 않았습니다. ​

    기타 문화재: 이 외에도 청송의 만세루, 청송의 산남댁, 의성의 만장사 석조여래좌상 등 총 30여 곳의 문화재가 피해를 입은 것으로 확인되었습니다. ​

     

     


    4. 농가 및 과수원 피해 현황

     



    산불로 인해 많은 농가와 과수원이 피해를 입었습니다. 주요 피해 사례는 다음과 같습니다:​

    경상북도 의성군: 산불로 인해 주택 23채, 창고 30동, 공장 1동 등 총 92개의 시설이 피해를 입었습니다. 특히 산과 인접한 과수원과 밭 등 농업 시설에도 상당한 피해가 발생하였습니다. ​
    농민신문

    경상북도 안동시: 길안면, 일직면, 남선면 등에서 산불로 인해 주택과 과수원이 소실되었습니다. 특히 사과 과수원이 집중적으로 피해를 입어 지역 농민들의 생계에 큰 영향을 미쳤습니다. ​



    산불 피해를 입은 농가에서는 농작물재해보험을 통해 보상을 받을 수 있습니다. 그러나 현재 농작물재해보험 가입률이 절반 수준에 그치고 있어, 향후 이러한 재난에 대비하여 보험 가입을 권장드립니다. ​
    네이트 뉴스

    또한, 영농 부산물의 소각은 산불 발생의 주요 원인 중 하나입니다. 이를 예방하기 위해 영농 부산물을 파쇄하여 퇴비로 활용하는 방안을 고려하시기 바랍니다. ​
    연합뉴스

    산불 피해 지역 주민들께서는 안전에 유의하시고, 정부 및 지방자치단체의 지침에 따라 신속하게 대피하시기 바랍니다.

     



    4. 문의처 안내

     



    산불 피해 상황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거나 지원이 필요하신 경우, 아래의 기관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

     



    산림청 산불방지과: 산불 관련 전반적인 사항 문의​

    전화: 042-481-4119​

    홈페이지: 산림청​
    산불정보

     

     

     


    행정안전부 재난안전관리본부: 재난 사태 및 지원 관련 문의​

    전화: 044-205-1542​

    홈페이지: 행정안전부​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
    각 지역 지방자치단체 재난안전대책본부: 해당 지역의 구체적인 피해 상황 및 지원 문의​

    경상북도청: 054-880-2114​

     

     


    경상남도청: 055-211-2114​
    산불정보

     

     


    울산광역시청: 052-120​

     


    또한, 산림청의 실시간 산불 정보 시스템을 통해 현재 진행 중인 산불의 상세 정보를 확인하실 수 있습니다. ​
    산불정보

    산불 피해 지역 주민들께서는 안전에 유의하시고, 정부 및 지방자치단체의 지침에 따라 신속하게 대피하시기 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